코로나19 감염후 기능적 실성증의 음성치료

Voice Therapy for Functional Aphonia Following COVID-19 Infection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Soc Laryngol Phoniatr Logop. 2024;35(3):102-105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December 27
doi : https://doi.org/10.22469/jkslp.2024.35.3.102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and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san, Korea
2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Kosin University, Busan, Korea
김근효1orcid_icon, 임동원1orcid_icon, 천용일1orcid_icon, 신성찬1orcid_icon, 이병주1orcid_icon, 이연우,2orcid_icon
1부산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및 의생명연구원
2고신대학교 언어치료학과
Corresponding Author Yeon-Woo Lee, PhD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Kosin University, 194 Wachi-ro, Yeongdo-gu, Busan 49104, Korea Tel +82-51-240-7543 E-mail ahaha1216@gmail.com
Received 2024 September 3; Revised 2024 December 10; Accepted 2024 December 10.

Trans Abstract

This case report aims to document and analyze a unique instance of functional dysphonia with diminished vocal cord movement observed in a patient following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fection. The study focuses on the outcomes of a one-month voice treatment regimen administered to alleviate the dysphonic symptoms. Th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management of post-COVID-19 vocal impairments and contribute to the growing body of knowledge on the varied manifestations of this viral infection.

서 론

기능적 실성증이란 말은 할 수 있지만 산출하는 소리가 속삭임 이상으로 들리지 않거나 매우 쥐어짜는 듯한 소리로 들리는 발성장애로 정의한다[1-3]. 후두경 소견상 성대가 완전하게 접촉되지 않고 성문부의 과도한 근긴장 관찰 등이 있다[4].

기능적 실성증은 기질적, 신경학적 원인이 없이 발성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태이다. 주로 심리적, 감정적, 명확하게 설명되지 않는 요인들과 관련이 있고, 음성치료는 목소리의 상실을 해소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5,6]. 기능적 실성증의 발생 초기에 음성치료를 시작한다면 불필요한 보상행동들을 줄일 수 있어 음성 회복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다. 코로나19 감염으로 발생한 음성장애가 많이 보고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감염 이후에 발생한 기능적 실성증 환자의 음성치료 사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증 례

본 환자는 45세 여성으로 2023년 1월 코로나19 감염 이후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증상으로, 개인병원 후두내시경상 양측 성대가 접촉되지 않아 추가 검사 및 진료를 위해 본원을 내원하였다. 환자는 속삭이는 음성으로만 대화가 가능하였고, 기침하기, 목청 가다듬기, 웃기 등과 같은 생리적 발성에서는 간헐적으로 유성음이 산출되었다. 환자는 코로나19 증상이 회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음성이 정상적으로 산출되지 않아서 내원하였다고 보고하였다. 후두내시경 검사에서 성대 점막에는 별다른 병변이 없었지만 발성 시 양측 성대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발성 시 양측 성대가 부정중위(paramedian) 위치까지만 내전되고 성문부에 과도한 근긴장이 관찰되었다(Fig. 1) [7].

Fig. 1.

Laryngoscopic finding. A: During respiration. B: During phonation.

음성검사를 위해서 Analysis of Dysphonia in Speech and Voice (ADSV model 5109; KayPENTAX, Lincoln Park, NJ, USA), VOXplot [8]을 이용하였다. 음성녹음은 이비인후과 음성검사실 내 방음 부스에서 Kay Pentax사의 ADSV 및 Shure Inc사의 Shure SM48 (Shure Inc., Niles, IL, USA)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ADSV에서 녹음한 음성파일을 VOXplot에 로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음성녹음은 표본추출률 25.0 kHz로 설정되었고, 녹음된 데이터는 WAV 형식으로 저장되었다. 이 분석들을 통해서 평활화된 켑스트럼 피크 현저성(smoothed cepstral peak prominence, CPPS), 음향학적 음성 질 지수(Acoustic Voice Quality Index, AVQI), 음향학적 기식음 지수(Acoustic Breathiness Index, ABI), 최대연장발성시간(maximum phonation time, MPT), S/Z ratio를 측정하였다. 청지각적 평가를 위해 Grade-Roughness-Breathiness-Asthenia-Strain (GRBAS) 척도, Consensus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CAPE-V)의 전반적 중증도(overall severity, OS)를 평가하고, 환자 자가설문지인 음성장애지수(Voice Handicap Index-10, VHI-10)도 수행하였다.

음향학적 검사에서 CPPS는 2.90이었고, AVQI는 10.68, ABI는 9.73, MPT는 5.23초, S/Z ratio는 1.68로 측정되었다. VHI-10은 39점, GRBAS 척도는 G3R0B3A2S0, OS in CAPE-V는 85점이었다(Fig. 2 and Table 1).

Fig. 2.

The results of VOXplot. A: Pre voice therapy. B: Post voice therapy.

Comparison of voice evaluations pre and post voice therapy

기능적 실성증을 위한 음성치료를 계획하였고 음성치료는 본원 이비인후과 음성언어치료실 언어재활사 1인이 2023년 4월 주 1회 총 3회기를 시행하였다. 음성치료 1회기에는 음성위생교육 및 발성원리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생리적 발성 시 간헐적으로 유성음이 산출되었다는 점에 중점을 두었다. 먼저 목청 가다듬기 /크흠/와 같은 생리적 발성을 시도하여 짧은 유성음이 산출되도록 훈련하였으며, 환자에게 유성음이 산출될 때의 느낌과 소리를 기억하라고 교육하였다. 훈련은 real-time pitch (RT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발성의 음도, 강도 곡선을 시각적으로 피드백 받으며 진행하였다.

치료 2회기에는 후두마사지 및 구강/비강 호흡을 통해 불필요한 근긴장을 낮춘 상태로 훈련을 진행하였다. SLP가 먼저 목청 가다듬기 /크흠/에 대한 모델링을 보여주고 환자가 따라하도록 유도하였다. 생리적 발성을 잘 따라할 수 있게 되면 좀 더 길게 소리를 유지하도록 훈련하였다. /크흠/ 뒤에 연속적으로 허밍으로 /음/ 소리를 유지시키도록 반복 훈련하였다. /크흠/(구강음)+/음/(비강음) 순서로 연습을 하였다. 환자는 RTP 화면을 통하여 본인의 생리적 발성 산출시 나타나는 음도(파란색 곡선)를 보면서 피드백을 받았다.

치료 3회기에는 이전 회기에서 하였던 /크흠/(구강음)+/음/(비강음) 연습을 스스로 잘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성음 산출이 가능해져 이 소리를 Lax Vox 훈련에 접목하였다. 후두 음성언어의학회 2판에 소개된 훈련 절차 중에서 무성음 불기와 유성음 불기를 실시하였다[9]. 이 훈련들을 통해서 목소리가 나오는 빈도가 증가하였고 소리의 공명을 잘 유지해야 명료한 목소리가 나온다는 것을 환자가 이해하였다.

음성치료 후 일반적인 대화 상황에서도 치료 전에 비해서 자연스러운 음성 산출이 가능하였고, 모음 음성검사 평가 항목들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고 찰

코로나19 감염 이후에 음성장애가 지속되는 환자의 비율은 약 20% 정도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환자들은 호흡곤란, 삼킴장애, 음성 피로, 인후두 통증 등의 증상도 동반되었다[10,11]. 음향학적 변수들도 감소된 배음대소음비(harmonic to noise), CPPS, MPT 값, 증가된 jitter, shimmer 값으로 보고되었다[12].

여러 음성평가를 수행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효과적이라고 본 것은 후두내시경 검사였다. 실제로 생리적 발성 시의 성대 움직임을 보면서 환자에게 적절한 음성치료 전략이 무엇일지 생각하게 되었다. 음성치료를 위해 음성위생, 호흡훈련, 후두마사지, 생리적 발성, 흡기발성, 머리 위치 변경, 손가락 조작법, 차폐, 입술떨기(lip trill), 혀 떨기(tongue trill), Lax Vox 등 다양한 치료 기법들이 사용된다[13]. 환자의 발성 특성을 고려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유성음 산출을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본 사례에서는 생리적 발성으로 시작하여 유성음을 유지하는 것을 치료 포인트로 잡았다. 생리적 발성은 매 회기 실시하였고 발성 시 환자의 불편감, 노력성은 점차 감소하였다. 또한 1, 2회기에서는 Lax Vox를 통한 발성이 되지 않았는데 3회기에서는 유성음 불기, 음계 올리기(gliding up), 음계 내리기(gliding down)가 가능하였다는 점 은 매우 고무적이었다.

본 사례 보고는 코로나19 감염 이후 즉시 확인된 음성장애가 아니기 때문에 직접적인 원인인지, 보상적인 행동의 결과인지 알 수 없었다. 또한 주 1회의 치료가 아닌 주 3회 이상의 집중 음성치료를 시행하였다면 더 많은 음성 회복을 얻을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매 치료회기마다 후두내시경을 시행하여 성대점막 및 움직임 양상을 관찰하지 못하였던 한계가 있다.

요약하자면 한 명의 사례이지만 기능적 실성증이 코로나19 감염 이후에 발생하였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고, 이러한 음성치료 보고는 코로나19 감염 후 음성 회복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cknowledgements

None

Notes

Ethics Statement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adhered to the established research ethics and standards (IRB No. H-2401-015-135).

Funding Statement

None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Authors’ Contribution

Conceptualization: Geun-Hyo Kim, Yeon-Woo Lee. Formal analysis: Geun-Hyo Kim. Investigation: Dong-Won Lim. Project administration: Yeon-Woo Lee. Supervision: Yong-Il Cheon, Sung-Chan Shin, Byung-Joo Lee. Visualization: Geun-Hyo Kim. Writing—original draft: Geun-Hyo Kim. Writing—review & editing: Yong-Il Cheon, Sung-Chan Shin, Byung-Joo Lee. Approval of final manuscript: Yeon-Woo Lee.

References

1. Gillespie AI, Gartner-Schmidt J, Rubinstein EN, Abbott KV. Aerodynamic profiles of women with muscle tension dysphonia/aphonia. J Speech Lang Hear Res 2013;56(2):481–8.
2. Torgerson JK. Cough offset schwa as a means of eliciting initial phonation in functional aphonia: two case reports. J Commun Disord 1983;16(1):63–6.
3. Roy N. Functional dysphonia. Curr Op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3;11(3):144–8.
4. Maniecka-Aleksandrowicz B, Domeracka-Kołodziej A, Rózak-Komorowska A, Szeptycka-Adamus A. [Management and therapy in functional aphonia: analysis of 500 cases]. Otolaryngol Pol 2006;60(2):191–7. Polish.
5. Tezcaner ZÇ, Gökmen MF, Yıldırım S, Dursun G. Clinical features of psychogenic voice disorder and the efficiency of voice therapy and psychological evaluation. J Voice 2019;33(2):250–4.
6. Martins RH, Tavares EL, Ranalli PF, Branco A, Pessin AB. Psychogenic dysphonia: diversity of clinical and vocal manifestations in a case series. Braz J Otorhinolaryngol 2014;80(6):497–502.
7. De Virgilio A, Chang MH, Jiang RS, Wang CP, Wu SH, Liu SA, et al. Influence of superior laryngeal nerve injury on glottal configuration/function of thyroidectomy-induced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4;151(6):996–1002.
8. Barsties V Latoszek B, Mayer J, Watts CR, Lehnert B. Advances in clinical voice quality analysis with VOXplot. J Clin Med 2023;12(14):4644.
9.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understanding voice production and voice therapy]. 2nd ed. Seoul: Panmun Education;2016. Korean.
10. Lechien JR, Chiesa-Estomba CM, Cabaraux P, Mat Q, Huet K, Harmegnies B, et al. Features of mild-to-moderate COVID-19 patients with dysphonia. J Voice 2022;36(2):249–55.
11. Cantarella G, Aldè M, Consonni D, Zuccotti G, Berardino FD, Barozzi S, et al. Prevalence of dysphonia in non hospitalized patients with COVID-19 in Lombardy, the Italian epicenter of the pandemic. J Voice 2023;37(4):605–9.
12. Asiaee M, Vahedian-Azimi A, Atashi SS, Keramatfar A, Nourbakhsh M. Voice quality evaluation in patients with COVID-19: an acoustic analysis. J Voice 2022;36(6):879.e13–9.
13. Kim BR, Woo JH. [A case of voice therapy for long standing functional aphonia]. J Korean Soc Laryngol Phoniatr Logop 2022;33(2):119–22. Korean.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Laryngoscopic finding. A: During respiration. B: During phonation.

Fig. 2.

The results of VOXplot. A: Pre voice therapy. B: Post voice therapy.

Table 1.

Comparison of voice evaluations pre and post voice therapy

Parameters Pre Post
Mx_CPPS 2.90 5.72
AVQI 10.68 6.99
ABI 9.73 8.40
MPT 5.23 6.35
S/Z ratio 1.68 1.43
VHI-10 39 18
GRBAS G3R0B3A2S0 G2R0B2A1S0
OS of CAPE-V 85 43

CPPS, smoothed cepstral peak prominence; AVQI, Acoustic Voice Quality Index; ABI, Acoustic Breathiness Index; MPT, maximum phonation time; GRBAS, Grade-Roughness-Breathiness-Asthenia-Strain; CAPE-V, Consensus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OS, overall severity; VHI-10, Voice Handicap Index-10